한글날 공휴일 재지정 이유와 훈민정음 해례본 원판본 행방 묘연


 

한글날은 매년 10월9일 공휴일이였으나 1991년 공휴일이 많아 경제발전에 지장을 준다는 이유로 제외되었습니다.
하지만 2012년 12월 법을 개정하여 한글낭 공휴일 재지정 되었습니다.
아직 달력에 까만 글자로 된 것이 있는 것은 법 개정이 12월이라 달력을 먼저 인쇄되었기 때문입니다.
한글날 공휴일 재지정된 이유는 우리나라 근로시간이 유럽 선진국보다 많아 공휴일로 개정된 것입니다.

오늘은 한글날의 의미와 훈민정음에 대해 알아봅니다.
훈민정음 해례본은 국보 제70호로 지정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록된 문화재입니다.
훈민정음 해례본이 중요한 이유는 오직 이 책에서만 한글의 원리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훈민정음은 세종대왕 25년에 완성하여 3년의 시험기간을 거쳐 세종 28년에 반포되었습니다.
한글은 세계 언어 중 가장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만든 우수한 언어입니다.
한글날은 이러한 한글 창제와 반포를 기념하고 한글의 우수성과 공로를 기리는 날입니다.



한글날을 처음 제정한 것은 1926년 9월 29일 조선어연구회가 식도원에서 "가갸날"기념식을 거행한 것이 시초입니다.
한글날은 초기에 "가갸날"이라 불렀습니다.
그 후 1928년 주시경을 중심으로 국어연구가들이 "한글날"로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한글날은 하나밖에 없는 글을 기념하기 위한 날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글날 10월9일은 경북 안동에서 훈민정음 원본이 발견되어 정인지가 기록한 한글 반포일을 계산해 현재 양력 10월9일로 되었습니다.
한글 날은 1970년 대통령령으로 관공서 공식 휴일로 지정되었다가 1991년 산업발전에 장애가 된다하여 공휴일을 줄이는 결과로 기념일이 되었고...
2006년부터 국경일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여 쉬지 않는 국경일로 정해졌습니다.
그리고 2012년12월에 한글날은 다시 공휴일로 지정되는 순탄치 않은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훈민정음은 해례본과 간송본, 상주본이 발견되었고...실록본과 언해본 등이 있습니다.
나랏말씀이... 라는 구절은 훈민정음 언해본에 있는 글귀입니다.



훈민정음은 연산군의 탄압과 전쟁 등에 의해 대부분의 자료들이 소실되었습니다.
경북 안동의 광흥사와 영주 풍기 희방사에 월인석보와 훈민정음 원판목이 보관되었다가 불행하게도 6.25 전쟁때 모두 소실되었습니다...
현재 남아있는 훈민정음은 인쇄본으로 원판들이 없습니다.



국보 70호 훈민정음 해례본 간송본은 안동 광흥사에서 학조대사와 신미대사가 판본을 만들어 인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신미대사는 불교의 범어의 소리 글자를 연구한 승려입니다.
학조대사는 한글창제 과정에 핵심 역할을 한 승려로 경북 안동 광흥사로 출가한 인물입니다.



한글 창제는 집현전 학자들이 만든 것이 아니라 신미대사와 학조대사 등이 만든 것으로 추정하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를 근거로 집현전 학자들이 화장실에 앉아서 자음 모음을 맞추어 글을 다 익힐 수 있는 아주 쉬운 글이라는 "통시글"이라고 멸시했다고 합니다.



2012년 2월 대구지방법원 상주지원 선고공판에서 훈민정음해례본이 광흥사 복장 유물에서 도굴하였다는 증언이 나와 충격을 주었습니다.
광흥사에서 없어진 원판본은 아직도 어디에 누가 가지고 있는지 알지 못합니다. 민족의 긍지를 담은 소중한 문화재 관리가 아쉬울 따름입니다

국보급 문화재 원본 보관은 습기 관리가 가장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국보 문화재들은 진공 상태에서 철저한 습기를 차단한 상태로 보관합니다.
어디에 누가 숨겨 놓았는지 모르지만 종이로 만든 원판본이 진균류에 노출되어 손상되지 않도록 기원합니다.
세종대왕 이후 한글이 만들어지고 연산군과 양반들의 수많은 탄압과 어려운 역경속에서 계승되고 발전되어 대한민국의 민족의 언어로 한글은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언어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이번 한글날 공휴일 재지정으로 한글에 대한 많은 관심과 애정을 가졌으면 합니다. <어느 블로그에서>